복리 효과: 돈을 불리는 마법 같은 원리
"복리는 세계 8번째 불가사의이다."
이 말은 다름 아닌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의 명언입니다.
단순한 이자 계산이 아닌, 시간이 지날수록 기하급수적으로 자산을 늘리는 복리의 힘은 실제로 마법처럼 느껴지기도 합니다.
하지만 의외로 많은 사람들이 복리를 잘 알지 못하거나, 그 위력을 과소평가합니다.
이번 글에서는 복리의 개념, 원리, 실전 적용법까지 하나하나 자세히 살펴보며 ‘돈이 돈을 버는 구조’를 체감할 수 있게 도와드리겠습니다.
1. 복리란 무엇인가?
복리란, 원금에 붙는 이자뿐 아니라 이자에도 다시 이자가 붙는 구조를 말합니다.
이와 반대되는 개념은 단리로, 단리는 오직 원금에만 이자가 붙는 방식입니다.
간단한 비교
-
단리: 100만 원 원금에 연 5% 이자 → 1년 후 = 105만 원, 2년 후 = 110만 원
-
복리: 같은 조건에서 2년 후 = 110.25만 원
→ 해가 거듭될수록 격차가 커짐
복리는 시간이 지날수록 ‘이자가 이자를 낳는 구조’로 눈덩이처럼 커지는 결과를 가져옵니다.
2. 복리의 핵심은 ‘시간’
복리의 진정한 위력은 수익률이 아니라 시간의 길이에서 나옵니다.
같은 수익률이라도 더 오랫동안 투자할수록 자산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합니다.
예시 시뮬레이션
-
A: 25세부터 월 30만 원씩 20년 투자 (연 7% 복리)
-
B: 40세부터 월 30만 원씩 20년 투자 (연 7% 복리)
→ 결과:
-
A는 약 1억 5천만 원
-
B는 약 9천만 원
단 15년의 차이가 6천만 원 이상의 격차를 만들어냅니다.
즉, 복리의 핵심은 "얼마나 오래, 지속하느냐"입니다.
3. 72의 법칙으로 예측하기
복리의 마법을 간단히 계산할 수 있는 공식이 있습니다. 바로 72의 법칙입니다.
72의 법칙 공식
-
원금이 두 배가 되려면 걸리는 시간 = 72 ÷ 연 복리 수익률
예)
-
연 6% → 72 ÷ 6 = 12년
-
연 10% → 72 ÷ 10 = 7.2년
이 간단한 계산만으로도 언제 자산이 2배가 되는지 예측할 수 있어, 금융 설계에 매우 유용하게 활용됩니다.
4. 복리를 극대화하는 전략
복리를 제대로 활용하려면 몇 가지 실전 전략이 필요합니다.
① 재투자 원칙 유지
→ 배당금, 이자 수익은 꼭 다시 투자해야 복리 효과 극대화
② 꾸준한 적립식 투자
→ 매달 일정 금액을 투자하며 평균 매입 단가 낮추기
③ 장기 투자를 위한 분산 포트폴리오 구성
→ 리스크 분산을 통해 장기 생존성 확보
④ 절대 중도 해지 금지
→ 중간에 인출하거나 해지하면 복리 효과 완전히 무력화
복리는 “버티는 자에게 복을 준다”는 말이 딱 맞는 원리입니다.
5. 복리 효과를 보여주는 실전 사례
사례 1: 워런 버핏
-
버핏의 자산은 50대 중반 이후부터 폭발적으로 증가
-
이유는 단 하나: 그는 10살부터 투자 시작, 복리의 힘을 가장 오래 누린 인물
사례 2: 국민연금
-
국민연금은 매년 수익률 5~7%대
-
가입 기간 30년을 넘기면, 누적 수익이 2~3배 이상
사례 3: 장기 적금
-
연 3% 적금이라도 20년 동안 불입 시 이자 총액이 원금 대비 33% 이상 증가
소액이라도 복리 구조에 얹히면 결과는 반드시 커집니다.
6. 복리를 방해하는 요소들
복리의 효과를 제대로 누리기 위해선 복리의 적을 피해야 합니다.
복리 방해 요인
-
수수료: 펀드 수수료, 중개 수수료 등은 누적 손실 유발
-
잦은 매매: 수익보다 손실 확률 높음 + 세금 발생
-
인플레이션 미반영: 실질 수익률 하락
-
감정적 투자 판단: 공포, 욕심으로 인한 중도 매도
복리를 제대로 누리려면 '정해진 투자 전략을 꾸준히 실천'하는 것이 핵심입니다.
Q&A
Q1. 복리는 무조건 주식 투자로만 가능한가요?
아닙니다. 적금, 펀드, ETF, 국민연금 등 여러 금융상품에서도 복리 구조는 존재합니다.
Q2. 원금이 적어도 복리 효과를 볼 수 있나요?
네. 소액이라도 시간이 충분하다면 큰 자산이 됩니다. 금액보다 ‘지속’이 더 중요합니다.
Q3. 세금도 복리 계산에 포함되나요?
간접적으로는 포함됩니다. 세금이 낮을수록 복리로 굴릴 수 있는 자산이 더 많아지기 때문입니다.
Q4. 복리와 마이너스 복리는 뭔가요?
마이너스 복리는 ‘부채’입니다. 이자가 이자를 낳아 채무가 불어나는 구조입니다.
Q5. 복리를 제대로 경험하려면 몇 년은 투자해야 하나요?
일반적으로 10년 이상 장기 투자를 해야 복리 효과를 체감할 수 있습니다.